최근 전세사기가 급증하는 지금, 전월세를 구하는 세입자 입장에서 피 같은 내 돈을 지키기 위한
특약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특약사항은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리를 명확히 하고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는 핵심 수단입니다.
이 글에서는 법적 효력이 있는 특약사항 작성법과 체크해야 할 항목을 알아보겠습니다.
1. 특약사항이란? 왜 필수일까?
● 특약사항은 표준 임대차계약서에 없는 조건을 추가하는 것으로
● 계약 당사자 간 합의하에 법적 구속력을 가집니다.
● 전세사기 대비, 계약 파기 시 책임, 시설 수리 의무 등을 명시해 분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
2. 전세사기 막는 필수 특약사항 7가지
① 전세금반환보증 특약
● 임대인이 전세금을 반환하지 않을 경우, 연대보증인이나 담보제공을 명시합니다.
● "등기부등본 상 소유자와 계약"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,
제삼자 채무 차용 금지 조항을 추가합니다.
② 계약 해지 시 위약금 규정
● 임대인 또는 임차인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할 경우, 위약금(보통 계약금의 10~30%)을
지급하도록 명시합니다.
③ 확정일자 부여 의무화
● 계약 후 7일 이내 확정일자를 받아 임차권 우선권을 확보하도록 합니다.
미이행 시 계약 무효 조항을 추가합니다.
④ 시설 고장 시 수리 책임
● "구조적 하자 발생 시 임대인이 수리 비용 부담" 등의 내용을 명시해 분쟁을 예방합니다.
⑤ 전입신고 독려 조항
● 전입신고 미이행 시 계약 해지 가능성을 규정해, 임대인의 이중 계약을 방지합니다.
⑥ 중도금 잔금 입금 조건
● 중도금·잔금 입금 시 영수증을 반드시 교부받도록 하며,
통장 입금만 인정하는 조항을 추가합니다.
⑦ 보증보험 가입 조건
● "전세금 보증보험 가입을 원칙으로 하며, 미가입 시 계약 무효" 등의 문구를 삽입합니다.
3. 특약사항 작성 시 주의사항
● 모든 약정은 반드시 문서로 작성하고, 계약서에 부착해 양측이 날인합니다.
● "추후 협의", "~하는 경우 등"과 같은 모호한 표현은 피하고 구체적으로 표기합니다.
● 복잡한 특약은 부동산 법무사나 변호사의 검수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.
'금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험의 종류와 꼭 가입해야 할 보험 (0) | 2025.04.30 |
---|---|
부동산 계약 시 유의사항 (0) | 2025.03.26 |
"전세사기" 유형 및 사기 안 당하는 방법 (0) | 2025.03.04 |
가상화폐(코인)란 무엇인가? (0) | 2025.01.07 |
등기부등본 제대로 보는 방법!! 모르면 사기 당합니다. (0) | 2024.08.14 |